“질병은 징후가 나타날 때 고쳐야 한다.” – 『편작-창공열전』
편작(扁鵲)은 전국시대의 의학자이다. 편작이 제나라로 가자, 제나라 왕 환후(桓侯)는 편작을 빈객으로 예우하고 맞이했다.
어느 날 편작은 환후와 만나 이렇게 말한다.
“왕께서는 피부에 병이 있는데, 치료를 하지 않으면 더욱 깊어질 것입니다.”
“왕께서는 피부에 병이 있는데, 치료를 하지 않으면 더욱 깊어질 것입니다.”
환우는 마음이 상했고, 편작이 물러가자 곁에 신하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의술을 가진 자들은 이익을 탐해서 없는 병도 있다고 하여 공을 세우려고 하는구나.”
“의술을 가진 자들은 이익을 탐해서 없는 병도 있다고 하여 공을 세우려고 하는구나.”
닷새 뒤에 편작은 또 환우를 만나고 말했다.
“왕께서는 혈맥에 병이 있습니다. 지금 치료를 시작하지 않으면 병이 깊어질 것입니다.”
“왕께서는 혈맥에 병이 있습니다. 지금 치료를 시작하지 않으면 병이 깊어질 것입니다.”
환우는 몹시 화가 나서 편작을 물러나게 했다. 닷새 뒤에 편작은 또 환후을 만났다.
“왕께서는 위와 장 사이에 병이 있습니다. 당장 치료를 시작하지 않으면 더 깊은 곳까지 들어갈 것입니다.”
“왕께서는 위와 장 사이에 병이 있습니다. 당장 치료를 시작하지 않으면 더 깊은 곳까지 들어갈 것입니다.”
환우는 대답하지 않고 편작을 또 돌려 보냈다.
닷새 뒤에 편작은 또 환우를 만났는데 멀리서 보기만 하고 그냥 물러 나왔다.
왕이 사람을 보내 까닭을 묻자 편작은 이렇게 말했다.
왕이 사람을 보내 까닭을 묻자 편작은 이렇게 말했다.
“병이 피부에 있을 때는 탕약과 고약으로 고칠 수 있고, 혈맥에 있을 때는 쇠침과 돌침으로 치료할 수 있으며, 위와 장에 있을 때는 약술로 고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병이 골수까지 들어가면 하늘의 신도 어찌할 수 없습니다. 지금 병이 골수까지 들어가 있기 때문에 제가 더 이상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몇 일 후 환후는 자신의 몸이 위중하다는 것을 알고, 사람을 보내 편작을 찾았지만 편작은 이미 떠난 뒤였다.
내 게임을 누가 평가해? 라는 주제를 가지고 설명했지만, 부정적인 문제도 많다. 각 분야의 평가시스템이 잘 만들어 진다는 것은 사실 현실과 다른 이상적인 경우다. 개발사의 성숙도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나오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험상, 평가라는 것을 순수한 결과로 받아 들이기 보다는 악용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예로 평가 결과를 개발기간 연장의 도구로 활용한는 개발자라던지, 아니면 평가 결과를 이용해서 개발팀에게 압박하려는 경영자라던지, 이외에도 여러 가지 경우를 볼 수 있다. 결국 평가라는 프로세스가 독이 될지 약이 될지는 리더의 역량에서 결정되는 것이다. 개발기간의 연장은 곧 비용이랑 연결되고 비용초과는 경영에게 문제를 발생시킨다. 결국, 경영자는 투자를 더 하거나 받아야 하는 선택을 한다. 경영자의 입장에서 월급날은 너무 빠르게 다가오고, 개발자는 월급날이 늦게 온다고 말한다. 입장차이에서 발생하는 괴리다.
경영자든 개발자든 성숙도에 따라 개발사의 미래가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개발자와 경영자가 서로 신뢰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을 잘 만들어 내고 평가 결과가 나왔을 때 개발자든 경영자든 결과에 대한 빠른 피드백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피드백을 통해서 개선하고 발전시켜서 게임의 성공 확률을 높이게 된다.
정리하면..
게임을 개발하다 보면 실패의 징후가 보임에도 불구하고 그 심각성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징후에 대한 적절한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는 것이 이번 사기의 예와 일치한다.
평가 시스템은 이러한 게임 개발의 문제점을 미리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문제를 잘 찾고도 해결하지 못한다면 이건 향후에 더 큰 문제로 번질 수 있다. 결국에는 손도 대지 못한 체, 게임개발을 종료할 수 밖에 없는 결과를 초래한다.
편작은 전국시대의 의술의 대가였으며, 사마천의 "사기"에도 여러 번 나올만큼 뛰어난 인물이다. 그 시대 누구나 인정하는 편작이다. 편작은 병이 무엇인지 진단하고, 치료한다. 즉, 게임개발에서 평가 시스템이 편작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평가 시스템은 게임 개발사의 역량을 비추는 거울이 될 수 있다. 또한 개발자와 경영자가 서로 신뢰할 수 있는 평가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